Quick reminder that if the roles were reversed and young people were more likely to die, our parents and grandparents would do absolutely anything and everything to save us. “To people who call the virus 'boomer remover'
현 시국에 미국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말입니다. “만약 코로나가 노인이 아닌 젊은이들에게서 더 사망율이 높았다면, 우리의 부모님과 조부모님들은 우리를 지키기 위해 모든 것을 다 했을 것이다”. 맞는 말이고, 저 또한 공감되었습니다. 격주로 수요일마다 스캇 목사와 데이빗 목사와 함께 교회 마당에서 수다 모임을 가집니다. 푸른 눈의 두 백인 목사들은 한국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유교문화권 국가들의 남을 향한 배려 정신에 감명받고 있다고 고백합니다. 그러한 문화와 이타심이야말로 예수의 정신이라 생각한답니다. 그러고 보니 한국의 상황이 급속히 좋아지던 시절, 서구인들이 ‘눈치'라는 단어를 배우고 있음이 기억났습니다. 한국인들에게 남에게 민폐끼치지 않는 문화는 너무 당연해서 예의 축에도 들지 않습니다. 실제로 한인과 중국인이 몰려 사는 뉴욕 플러싱의 마스크 착용률이 뉴욕시티에서 가장 높은 99퍼센트라고 합니다. 한편 현 시국에 한국에서 공감을 얻고 있는 메시지가 있습니다. 부산 샘터교회 안중덕 목사의 설교가 일반인들에게도 널리 회자되었습니다. 지면 관계로 제목만 나열해 보면 이렇습니다. 설명이 포함된 이미지는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라는 것은 잠잠하라는 뜻. 손을 자주 씻으라는 것은 마음을 깨끗이 하라는 뜻. 사람과 거리두기를 하라는 것은 자연과 가까이 하라는 뜻 대면예배를 금지하라는 것은 언제 어디서나 주를 바라보라는 뜻 집합을 금지하라는 것은 소외된 자들과 함께 하라는 뜻 어떻게든 예전으로 돌아가려는 마음, 부족한 것을 다른 것으로라도 채우려는 마음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저부터도 그렇습니다. 그러나 때에 따라 들려주시는 하나님의 말씀과 그 뜻에 겸비하게 귀를 기울여보면 좋겠습니다. 그동안 교회는 세상을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바꾼다고 부지런을 떨었습니다. 말하고, 계획을 짜고, 교회를 조직하는데 몰두했습니다. 이제는 그럴 공간도, 시간도, 사람도 없습니다. 비로소 흩어질 때, 그리고 일상의 하나님을 만날 때입니다. 한국인들에게 두드러진 이타심과 배려심같은 좋은 성품에 만족하고 기뻐하는 것도 즐거운 일입니다. 이제 나가서 타자를 즐겁게 할 때입니다. 소외되고 연약한 이웃도 타자입니다, 또한 인간들의 소비문화에 몸살났던 지구도 보듬어야 할 타자입니다 Comments are closed.
|
아카이브
3월 2023
카테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