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재기가 기승입니다. 사재기도 부익부 빈익빈일까요? 냉장고와 가라지의 크기만큼 형편이 나뉩니다. 정작 필요로 하는 물자가 없어서 식당은 밥을 못하고, 병원은 진료를 못하며, 모든 사람들이 화장지가 떨어져 가고 있지만 사재기는 오늘도 여전히 계속되고 있습니다.
믿는 사람은 어떡해야 할까요? 우리는 주님께서 가르쳐 주신 기도에 따라 일용할 양식을 구합니다. 앞으로 몇 달 먹을 양식이 아니라, 오늘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입니다. Stay at home 명령과 자주 외부환경에 노출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쇼핑 정도는 일용할 양식에 속할 것입니다. 먹는 문제는 우리 삶의 근간입니다. 예수의 처음 시험은 돌로 빵으로 만들라는 유혹이었고, 처음 기적은 물로 포도주로 만든 것이었습니다. 인간은 소풍을 가든, 출근을 하든, 전쟁을 나가든 빵과 음료가 있어야 합니다. 한 여인은 예수에게 개들도 상 아래 떨어지는 빵 부스러기는 먹는다며, 은혜를 간청했습니다. 주님의 짧은 공생애 가운데 마지막 일주일을 몇 주간 살펴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목요일의 성찬 장면으로 가봅시다. 공식적으로는 인간의 육신을 입은 예수의 마지막 끼니였습니다. 메시지는 간결합니다. "받아서 먹어라. 이것은 내 몸이다". 우리가 매 달 드리는 성찬의 하일라이트인 제정사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그리스도인으로써 영원히 기억할 그 한 문장의 말씀 이전에 예수께서 행하신 모습에 초점을 맞춰보겠습니다. 예수께서는 빵을 (1)들어서, (2)축복하시고, (3)떼어서, (4)나누십니다. 이 네 가지 행위에 주목한 현대신학자 헨리 나우엔에게서 얻은 아이디어입니다. 주는 사람의 행위(들어서 축복한 후 떼어서 나누기)와 받는 사람의 행위(받아서 먹기)가 구분됩니다. 그런데 예수께서는 이것을 행할 때 마다 나를 기념하라고 말씀하십니다. 예수께서 십자가에 들림 받고, 육신이 깨어지사 사랑의 나눔으로 모든 죄를 씻으신 것 처럼, 성찬을 행할 때마다 예수의 사건이 나의 사건이 되길 소망해야 합니다. 나누진 않고, 받기만 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어리면 몰라서 그런 것이고, 성인이면 욕심이 많아서 그렇다고 불려집니다. 성찬에 참여하는 정신은 순종입니다. 예수의 마지막 말씀에 순종하여 받거니 주거니 하는게 제자된 도리입니다. 민심이 흉흉하여 극성일 때, 성찬의 정신으로 사는 그리스도인들은 한 줄기 빛처럼 환히 세상을 비출 것입니다. 댓글이 닫혔습니다.
|
아카이브
3월 2023
카테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