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 시대는 몇 십년전에는 상상하지 못할 수준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손주들의 재롱을 유투브에 올려놓으면 다운로드 받을 필요도 없이 즉시 볼 수 있습니다. 물리적인 거리는 쉽게 오갈 수 있는 몇 시간 거리 외에는 나머지는 엇비슷하게 느껴집니다. 전처럼 멀게 느껴지진 않습니다.
이렇게 사람과 사람만 연결되어 있는게 아닙니다. 제 집에서 교회 컴퓨터에 연결할 수도 있고, 조그만 기계 하나가 휴대폰과 TV, 그리고 램프와 에어컨도 연결해 줍니다. 휴대폰으로 직접 날씨를 찾을 필요도 없습니다. 버튼만 누르고, 한국어로 “날씨?” 라고 물어만 봐도 자동으로 찾아서 알려줍니다. 이렇게 정보와 기계와 사람이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거기에 지금보다 스무 배 빠른 인터넷이 개발중이라고 합니다. 명실상부한 초연결(hyper-connectivity) 사회입니다. 많이 들어보셨을 4차 산업 혁명은 이러한 기술발전과 함께 이미 진행중입니다. 게다가 예고 없이 찾아온 바이러스로 인해 일부 기술은 우리 가정 안으로 들어와버렸습니다. 온라인교육이 이미 시행중이고, 원격 진료의 전단계로써 현재 대부분의 진료는 인터넷이나 전화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서로 얼굴을 마주보지 않고 할 수 있는 기술부터 우리 삶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겁니다. 교회의 고민은 점점 커집니다. 동료 목회자들도 만나면 미래 목회에 대한 설계에 여념이 없습니다. 참으로 그 날이 도적같이 찾아왔습니다. 만날 수 없는 현실 앞에 우리 교회도 온라인 예배를 드리고 있지만, 함께하지 못하는 분들이 늘 마음에 걸립니다. 문제는 펜데믹 시절에만 온라인 예배가 유지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 서로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 “비대면"이 곳곳에서 일상화 될 것인데, 교회도 예외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걱정이 많지만, 하나님은 걱정하지 않으신다는 신문기사를 봤습니다. 사실 역사를 봐도 전염병은 사람들의 삶의 형태를 변화시킵니다. 전염병을 막을 수 있는 방법(상하수도, 넓은 도로, 방호진료복)의 개발은 시대의 요구에 따라 튀어나옵니다. 역사와 기술의 발전 또한 하나님의 주권하에 있습니다. 지금은 우리가 초연결사회로 참여할 때입니다. 얼마전 우리교회 온라인 예배 분석자료를 보다가 의외의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절반은 한국에서 시청한 것으로 나옵니다. 이제는 국경을 넘나드는 광활한 온라인 시대입니다. 복음전파의 장은 더 넓어졌지만, 그보다 사랑하는 우리 교우님들의 디지털 소외는 이참에 시급히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큰 마음 먹고, 스마트폰을 장만하시면 어떨까요? 손주들 재롱도 자주 보시고, 예배도 함께 어우러져 드리는 디지털 공동체를 이룰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Comments are closed.
|
아카이브
3월 2023
카테고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