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체크해 보세요. 해당되는 만큼 말을 너무 많이 하고 있다는 겁니다.
□ 내가 말을 시작할 때 상대방이 “바쁘니까 짧게 얘기해 주세요” 라고 말한다. □ 주변 사람들이 나와 대화하기를 꺼리는 것 같다. □ 사람들이 내 말에 무관심한 것처럼 보인다. 내가 말할 때 주로 고개를 끄덕이거나, ‘응’, ‘네’, ‘와’ 와 같은 말로 반응한다. □ 종종 다른 사람의 말을 자르거나 방해한다. □ 의도했던 것보다 더 많이 말한다. □ 비밀로 해달라는 내용을 발설해 버린다. <나의 해방 일지>라는 드라마에 나오는 ‘다말증’이 설마 정말 있는 병명인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실제로 그런 병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다말증은 없지만, 관련 있는 질병은 있었습니다. 양극성 성격 장애(Bipolar Disorder), 자기애성 인격 장애(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주의력 결핍 장애(ADHD), 조현병(Schizophrenia) 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언제나 복음을 증거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말을 많이 하는 것이 미덕은 아닙니다. 눈빛과 미소, 친절과 사랑도 복음을 전하는 수단입니다. 그리스도인은 언제나 기도로 주님과 소통합니다. 그러나 많은 말로 할 필요는 없습니다. 주님께서도 말할 기회를 주셔야죠. Healthline이라는 건강정보 사이트에서 다말증세 극복을 위한 솔류션을 내놨습니다. 대화의 균형 맞추기, 침묵에 익숙해지기, 말하기 전에 생각하기 이 세 가지입니다. 신기하게도 기도와 전도를 위해서 꼭 필요한 해결책이기도 합니다. 타고 나기를 말하기를 좋아하는 사람도 있고, 조용한 사람도 있습니다. 어떤 편이든 간에 더 중요한 것은 듣기입니다. 지혜는 듣는 데서 오고 후회는 말하는 데서 온다는 영국 속담도 있습니다. 요즘처럼 다양성의 시절에는 잘 듣고 잘 보는 영성이 한결 더 신앙생활을 풍성하게 할 것입니다. 댓글이 닫혔습니다.
|
아카이브
4월 2023
카테고리 |